티스토리 뷰

초가집-앞에-할머니와-어린-소년이-어깨동무를-하고-함께-서있는-집으로-영화-포스터-사진

집으로의 7살 개구쟁이와 꼬부랑 할머니의 동거

집안 형편이 어려워지자 엄마는 상우(유승호)를 잠시 외할머니 댁에 맡기기로 합니다. 기차, 버스를 타고, 먼지가 풀풀 날리는 산골 시골길을 한참 걸어간 곳이 할머니의 집이었습니다. 글도 읽는 못하고 말도 하지 못하는 외할머니 혼자 살고 계신 시골 남겨진 상우는 전자 오락게임기나 도시의 놀이기구로 살아왔는데, 게임기의 건전지도 팔지 않는 시골 구멍가게와 사방이 돌과 나무 흙 투성이인 시골 집에서 심심해하고 답답해합니다. 하지만, 곧 상우는 자신의 불만들을 외할머니에게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할머니들이 그렇듯 개구쟁이 상우를 한 번도 나무라지 않습니다. 같이 보낸 시간이 늘어날수록 할머니에 대한 상우의 괴롭힘은 늘어만 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치킨이 매우 먹고 싶었던 상우는 온갖 몸짓으로 닭을 설명하면서 프라이드치킨을 사달라고 합니다. 그런데 할머니가 힘들게 시장에서 사 온 닭은 치킨이 아닌 닭백숙이었습니다. 처음에 먹지 않겠다고 하다가 결국 배고파서 맛있게 먹습니다. 손주가 좋아하는 닭을 사기 위해 비를 맞고 왔던 외할머니는 아프게 되고 상우는 미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장난꾸러기 소년과 외할머니의 동거는 어떻게 될까요?

집으로 꼬마 상우와 할머니 캐스팅 이야기

이 영화는 2002년 만들어진 영화로 7살 꼬마 상우 역으로는 유승호가 맡았고, 외할머니 역으로는 김을분 님이 맡았습니다. 1998년 <미술관 옆 동물원>의 감독을 맡았던 이정향 감독이 연출한 영화로 극 중 배경은 충청북도 영동군 상촌면에 있는 산골짜기가 극 중 배경인 촬영 장소가 되었습니다. 할머니 역을 맡았던 김을분 님은 77세의 나일로 실제 연기한 적이 없는 평번한 사람이었으나, 감독이 여러 번 그녀를 설득하여 캐스팅되었다고 합니다. 배우 출신이 아니였기에 연기가 서툴렀고 그래서 말을 못 하는 할머니로 설정을 바꾸어 촬영했다고 합니다. 말을 하지 못했기에 손자를 위해 프라이드 대신 백숙을 해주시고, 상우의 머리를 잘라주시는 할머니의 내리사랑이 좀 더 잘 표현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촬영 당시 상우 역의 유승호는 실제 나이 9살(초등학교 2학년)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괴롭히는 장면을 찍으면서 무척 죄송한 마음이 들었다고 합니다. 인터뷰에서도 할머니가 외롭게 살다 돌아가실까 걱정을 했다고 했으며, 영화가 상영된 이후에도 유승호는 할머니(김을분)와 만남을 종종 가졌다고 합니다. 김을분 님은 2021년 4월 17일 94세의 나이로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제작사와 초코파이 회사 오리온의 후회

제작 당시에는 흥행에 대해서는 전혀 기대하지 않았다고합니다. 시청자를 몰입할 수 있는 영상적 임팩트도 부족한 독립영화에 가까운 영화이기에 투자자들에게도 매력적인 영화가 아니였습니다. 제작사에서 영화의 소품으로 초코파이가 나오기에 오리온 측에 제작지원을 요청했지만 오리온은 흥행하지 못할 영화라 생각하고 지원을 거절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영화가 상영되자 서울 157만 전국 410만 이라는 대박의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그러자 뒤늦게 오리온측에서는 제작사에게 영화 장면을 홍보하겠다고 애원했지만 입장이 바뀐 제작사는 반대로 거절하여 오리온은 무척 후회했다고 합니다.어린아역 배우와 알려지지 않은 무명의 배우들 캐스팅으로 제작비용은 적었기에 영화로 엄청난 수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잔잔한 감동을 주는 가족영화는 미국에도 배급되었고, 2002년 홍콩 아시아 영화상 후보에도 올랐으며, 한국에서 2019년에 9월 5일에 재개봉되기도 하였습니다.

할머니가 그리운 따뜻한 가족영화

엄마에게서 곧 데리고 오겠다는 연락이 오면서 승우는 할머니와 헤어지게 될 시간을 다가오는 것을 안타까워합니다. 할머니에게 편지를 쓰고 싶어 글을 가르쳐 드리지만 쉽지가 않아 결국 직접 그린 그림편지를 대신드립니다. 영화를 보면 할머니의 사랑이 느껴지면서 돌아가신 외할머니가 생각납니다. 어릴 적 부모님이 바쁘셔서 한 달간 자매들을 봐주시기 위해오셨는데, 항상 따뜻한 밥에 정성 가득 반찬을 만들어 주시고 엄마가 야단치면 그러지 말라면서 말려주셨던 등이 굽으셨던 할머니가 그립습니다. 손주의 내리사랑을 볼 수 있었던 잔잔한 감동을 주는 가족영화로 적극 추천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