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노를-들고-있는-모아나와-그-뒤로-마우이가-함께-바다를-배경으로-서있는-모아나-영화-포스터-이미지

바다를 주제로한 애니메이션 중 인어공주 다음으로 생각나는 영화입니다. 구리 빛 피부를 가진 동글동글한 눈망울 가진 소녀가 자신의 부족을 위해 그토록 원하던 바다로 향하면서 펼쳐지는 모험 이야기입니다.

섬을 구하기 위한 소녀의 모험 이야기

모아나는 모투누이 섬 족장의 딸 이름입니다. 그녀는 어릴 적부터 할머니에게서 마우이의 이야기를 듣고 성장한 소녀였습니다. 그런 이유 때문일까요 모아나는 부모님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바다를 동경하고 바다에 나가고 싶어 하였습니다. 하지만 바다에 나가서 사고로 죽은 사람들이 많았기에 섬사람들은 바다로 나가는 것을 무섭고 두려워했습니다. 그래서 모투누이섬 사람들은 바다를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모투누이 섬이 저주에 걸리게 됩니다. 섬의 모든 식물과 동물 및 물고기가 재로 변하면서 섬이 점점 죽어가게 되었습니다. 할머니로부터 태초의 여신 테 티피가 심장을 잃었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 것이라는 걸 듣고, 모아나는 마을의 저주를 풀기 위해서 전설적인 영웅 마우이의 만나 그의 힘을 빌리기 위해 바다로 떠납니다.

여주인공 모아나보다 더 인상 깊은 마우이

근육질의 곱슬머리 온몸에 문신을 한 마우이는 평소 디즈니의 남자 주인공이라고 하기엔 다소 거리가 멀 것 같지만, 나는 참 매력적이고 재밌으면서 귀여운 인물이라 생각됩니다. 미남미녀의 공주, 왕자 캐릭터가 아닌, 희화화된 외모설정이 오히려 신선함과 마우이만의 개성을 더욱 살린 점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네요. 인정과 관심을 받는 것을 좋아하는 영웅 마우이는 아픈 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기 때부터 부모에게 버림을 받았고, 가엾게 여긴 신들이 그를 거두어 길렀습니다. 결국 반인반신이 된 마우이는 엄청난 힘과 능력을 얻게 되었고, 인간에게 버려졌으나 그들에 대한 애정이 있었기에, 인간들을 위한 많은 업적을 세웠습니다. 인간들은 그에게 위대한 영웅이라고 칭송했지만, 이런 욕심이 화근이 되어 마우이가 태초의 여신 테 티라의 심장을 훔치게 하도록 유인했습니다.

모아나가 주었던 감동의 OST

디즈니 애니메이션 중에 OST 가장 빛났던 영화중 하나가 모아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인상 깊었던 OST 몇 곡 소개해 드립니다. 1.How Far I'll Go : 족장의 딸인 모아나는 차기 족장으로서의 가질 의무와 바다로 나가고 싶은 희망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쓰러진 할머니 곁에 있으면 본인의 역할에 충실하려 마음먹지만, 바다가 자신을 부른다고 느끼면서 배를 타고 바다를 향하면서 부르는 노래입니다. 2.You're Welcome : 모아나를 만난 마우이가 자신을 소개하면서 무한한 힘과 능력으로 인간들을 도와주었던 일을 자랑하고 으스되면서 인간들에게 고마워하지 않아도 된다고 의미를 전달하는 노래입니다. 마우이에 몸에 새긴 문신들이 살아 움직이면서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노래와 장면이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재미있게 표현되었습니다. 3.Shiny : 마우이와 모아나가 마우이의 갈고리를 타마토아로 부터 되찾으러 갑니다. 그녀를 미끼 삼아 갈고리를 손에 넣은 뒤 타마토아에게 반격하려 하지만 능력을 온전히 사용 못하는 마우이가 도리어 타마토아로부터 괴롭힘을 당할 때 부르는 노래입니다.

폴리네시아의 전설적 영웅 마우이

영화 작품의 초기안은 폴리네시아의 전설적 영웅인 마우이를 주인공으로 했으나, 폴리네시아 지방을 직접 탐방하면서 추장의 딸을 주인공으로 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마우이는 초기 구상 당시의 모습은 대머리에 왜소한 체격이었지만 "머리카락이 마우이 힘의 원천이며, 전설 속에 나왔던 일들을 하려면 몸집이 커야 될 것이다"라는 자문단의 조언으로 디자인을 수정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우이는 폴리네시아 문화권의 넓은 여러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영웅인데, 각 지역마다 전승된 내용이나 서술방식이 다릅니다. 영화에서의 마우이는 각 지역에서 이것저것을 가져와 혼합하여 만들어진 캐릭터입니다. 마우이의 외모에 대한 묘사도 각 지역마다 다르기에 지역에 따라 청년 마우이로 나오거나 반신(반은 신이고 반은 인간)이 아닌 평범한 성인 남성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이 영화에서는 생략된 마우이의 부인인 히나(Hina) 역시 마우이의 어머니나 여자 형제로 묘사되는 지역들도 있습니다. 아마 마우이가 폴리네시아 전설에서 존재감이 큰 인물이기에 중요한 자국 문화의 영웅을 백인들이 세운 영화사에서 흥밋거리의 소재로 캐릭터화해 활용한다는 것 자체에 거부감을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반응형